728x90
오늘의 코딩테스트
코드
function solution(s) {
var answer = true;
s = s.split('');
if(s.length == 4 || s.length == 6)
{
for(let i = 0; i < s.length; i++)
{
if(!(s[i] <= 9 || s[i] >= 0))
{
return false;
}
}
}
else
{
return false;
}
return answer;
}
오늘은 노드숙련 주차에 이르러서 듣는 첫날 수업이였다.
오늘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학습하였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란 데이터를 테이블이란 형태로 저장해 놓는다. 테이블 들 끼리는 관계성을 가지고 있고, 해당 관계를 연결하여 관리할 수 있다.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테이블이란 구조를 가지고 있고, 테이블 안에 데이터를 나타내는 행인 Row와 해당하는 Row의 속성을 나타내는 column으로 구성되어 있다.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보통 SQL이라고 부르고 비 관계형 데이터를 NoSQL이라고 부른다. NoSQL의 경우 최근까지 내가 사용한 MongoDB가 있다.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주로 보안이 중요한 기관이나 안정성을 중요한 기관인 은행같은 기관이 사용하고, 비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경우 자유롭게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빅데이터 기관이나 스타트업들이 주로 사용합니다.
-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경우도 장점이 있는데, 읽기와 쓰기속도가 빠른 것이 대표적인 장점!
오늘 한일)
●RDS를 구매하여서 MySQL기반의 데이터 베이스를 제작하였다.
●전에 배운 MongoDB관련 개인과제 복습
내일 할일) 최소 1주차 sql강의 다듣기, 개인과제 해설 다듣고 관련된 코드 고치기!
'코딩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24일차] EC2서버에 프로젝트 배포 (0) | 2024.05.28 |
---|---|
[TIL/23일차] AccessToken / 회원가입 기능 구현 (0) | 2024.05.24 |
[TIL/22일차] JWT / 비밀번호 암호화 (0) | 2024.05.23 |
[TIL/21일차] Prisma method 학습 (0) | 2024.05.23 |
[TIL/20일차] SQL 학습 (0) | 2024.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