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는 여러가지 부품이 있다.메인보드, 하드디스크, 그래픽카드, 메모리카드, 그리고 CPU..컴퓨터를 사람 몸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다양한 부품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우리는 이중 뇌에 해당하는 CPU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CPU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CPU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이다.CPU 이전에 컴퓨터는 유저의 요청을 먼저 받는다. 유저의 요청은 보통 입력장치(키보드,마우스)등으로 받게된다.CPU는 이러한 요청을 받으면 요청을 처리하는 담당을 한다. 그리고 이 요청의 결과 값은 출력장치( 모니터) 등을 통해서 출력된다.그럼 이 CPU의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자CPU는 제어장치, 연상장치, 레지스터로 불리는 대표적인 3요소로 구성되어있다.(이것말고도 여러가지 요소..
삼각함수와 역삼각 함수의 가장 기초적인 부분 부터 이해하고 시작을 해야겠다!삼각함수를 배우기 전에 우리는 삼각비를 배우고 시작해야한다.- 삼각비란? 삼각비는 직각삼각형에서 두 변의 길이의 비를 나타낸 것입니다닮음인 직각삼각형끼리는 각 변의 길이의 비가 모두 같을 것입니다.다음은 각각의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늘린 것입니다.삼각 비는 각각의 변들의 길이의 비를 나타낸 것을 삼각 비라고 합니다.그중 델타 각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삼각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삼각비의 대한 기본 공식이고 sin, cos, tan 라는 삼각비가 여기서 나오게 됩니다.- 삼각함수란?이제 이러한 삼각비를 이용해서 삼각함수를 사용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다음과 같은 r을 빗면으로 사용하면서 r을 반지름으로..
[응용계층]- 응용계층이란?응용 계층은 OSI 7계층중 최상위 계층 (Application Layer)를 담당하고있다.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사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된다.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을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을 서버라고 한다.웹 브라우저나 메일 프로그램은 사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니 클라이언트에 속한다.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인 서버에는 웹 서버 프로그램과 메일 서버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런 어플리케이션은 응용 계층에서 동작한다. 응용 계층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기 위해 통신 대상(서버 등)이 이해할 수 있는 메시지(데이터)로 변환하고 전송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또한, 클..
[전송계층]- 전송계층이란?전송계층은 패킷이 전송 과정에서 아무 문제 없이 제대로 수신지 컴퓨터에 도착할 수 있도록 패킷 전송을 제어하는 역할은 전송 계층이 담당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하기 위해 실제로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논리적 통신이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통신과정에서 패킷에 손실이 없었는지의 대한 체크 및 오류 확인도 전송 계층에서 진행합니다. [TCP/UDP]- TCP 란?TCP는 전송을 제어하는 프로토콜(규약)을 의미합니다. 위에서 배웠던 전송계층에서 배웠던 전송과정의 연결을 담당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순히 연결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TCP와 UDP의 차이는 없기 때문에 TCP와 UDP는 서로 다른 과정으로 연결을 담당하게 됩니다. TCP는 연결과정에서 최대한 안정성을..
Select 모델- select모델의 개념select 모델이란 select 함수를 주로 사용하는 I/O 기반 소켓 프로그래밍이다.select 모델을 사용하면 소켓 모드(블로킹, 넌블로킹)에 관계없이 여러 소켓을 한 스레드로 처리할 수 있다. -select모델의 특징select 모델은 소켓 함수 호출이 성공할 시점을 미리 알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함수를 호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미리 확인하기 때문에 가능하다.수신/송신 버퍼에 데이터가 비었는데/꽉 찼는데 read/write 하는 상황이 기존 소켓 프로그래밍에 있었다.select모델은 이 상황을 미리 확인 하여 예방할 수 있다.또한 Select 모델은 여러 소켓에 대해 함수 호출 시점(또는 호출 결과)을 알려주는 역할을 할 뿐 소켓 정보를 관리해주지..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서브넷은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 네트워크를 뜻한다. 이러한 서브넷을 만들 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서브넷 마스크이다. 즉,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 체계의 Network ID와 Host ID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서브넷마스크서브넷 마스크는 해당하는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마스크이다. 기본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분리하고 네트워크 ID를 구한다.위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ID를 분해할 수 있다.C클래스 주소인 192.168.32.0이란 주소가 있다면 해당하는 C클래스 마스크인 255.255.255.0을 이용하여서 네트워크ID와 호스트 ID를 구할 수 있다. 기본 주..
●IP란?IP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게 각각의 장비에 부여되는 고유주소입니다. 쉽게 말하면 구분을 쉽게 하기 위해서 부여되는 ID값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IP의 종류 즉 주소 체계는 IPv4, IPv6가 있고, 일반적으로 현재는 IPv4를 많이 사용합니다. ●IPv4 와 IPv6-IPv4의 이해IPv4는 IP version 4의 약자이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 첫번째 인터넷 프로토콜이다.주소는 8비트씩 4자리로 총 32비트로 되어있고, 각자리는 온점(.)으로 구분한다.EX) 110.50.60.35IPv4는 약 42억 9천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는데, 전 세계적인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IPv4의 주소가 고갈되기 시작하여 문제를 해결하..
오늘은 오늘 배운 모의면접을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조금 더 정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인동기와 비동기(블록과 논블록)에 대해서 공부해보고자 한다.동기와 비동기는 우선 데이터의 요청을 어떻게 처리하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내집니다● 동기(Synchronous)동기는 우선 위의 사진에 왼쪽 부분처럼 해당하는 데이터 요청이 들어오면 그 자리에서 결과의 처리가 같이 진행되는 처리 방법을 동기적 처리라고 합니다. 예를 들자면 은행에서는 민원을 처리할 때 민원을 받고 처리를 끝낸 다음, 다음 민원을 받고 처리를 끝내는 식으로 해당 일이 끝나기 전에 다른 추가적인 업무를 하지 않는 것을 동기적 처리 방식이라고 합니다.● 비동기(Asynchronous)비동기는 이제 동기와 반대로 해당 데이터의 요청이 들어오면 그 데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