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함수와 역삼각 함수의 가장 기초적인 부분 부터 이해하고 시작을 해야겠다!
삼각함수를 배우기 전에 우리는 삼각비를 배우고 시작해야한다.
- 삼각비란?
삼각비는 직각삼각형에서 두 변의 길이의 비를 나타낸 것입니다
닮음인 직각삼각형끼리는 각 변의 길이의 비가 모두 같을 것입니다.
다음은 각각의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늘린 것입니다.
삼각 비는 각각의 변들의 길이의 비를 나타낸 것을 삼각 비라고 합니다.
그중 델타 각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삼각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삼각비의 대한 기본 공식이고 sin, cos, tan 라는 삼각비가 여기서 나오게 됩니다.
- 삼각함수란?
이제 이러한 삼각비를 이용해서 삼각함수를 사용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r을 빗면으로 사용하면서 r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과 삼각형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제 이 델타각을 이용하여서 우리는 삼각형의 r , x, y 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여기서 만약 빗면 r 이 1이라고 한다면 x , y 는 x/ r , y/ r 인 cos, sin 이되어서 x , y 를 cos, sin에 대입할 수 있다는 개념이 삼각함수의 기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역함수
역 함수는 간단하게 y = x + 1이라는 함수가 있다면 여기에 x에 1을 넣었을 때 y가 2가나온다는 것을 아는 것은 일반 함수이다. 하지만 반대로 y가 2가 나오기 위해선 x가 무엇이여야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을 구하는 방법은 x에 1이란 숫자를 직접 대입하게 끔 하는 x = y - 1 의 함수를 직접 제작하는 경우를 우리는 역함수라고한다.
- 역 삼각 함수
역 삼각함수는 간단하게 역함수처럼 이번에는 sin, cos, tan가 주어졌을 때 델타 각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1). 역사인함수 (arcsin x)
sin:[−𝜋/2,𝜋/2]→[−1,1] 일대일 대응
⇒ sin−1:[−1,1]→[−𝜋/2,𝜋/2] 역사인 함수
⇒ 𝑦=sin−1𝑥
sin 함수에서 조건에 부합하는 일대일 대응이 되는 부분
(2). 역코사인 함수 (arccos x)
cos:[0,𝜋]→[−1,1] 일대일 대응
⇒ cos−1:[−1,1]→[0,𝜋] 역코사인 함수
⇒ 𝑦=cos−1𝑥
cos 함수에서 조건에 부합하는 일대일 대응이 되는 부분
cos(cos−1(𝑥))=𝑥,𝑥∈[−1,1],cos−1(cos(𝑥))=𝑥,𝑥∈[0,𝜋]
**역코사인 함수의 치역은 양수이다. 즉, 역코사인의 값은 음수가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3). 역탄젠트 함수 (arctan x)
tan:(−𝜋/2,𝜋/2)→(−∞,∞) 일대일 대응
⇒ tan−1:(−∞,∞)→(−𝜋/2,𝜋/2) 역탄젠트 함수
⇒ 𝑦=tan−1𝑥
*() 는 열린구간을 의미한다. 점근선에 해당하는 값은 포함되지 않는다.
tan 함수에서 조건에 부합하는 일대일 대응이 되는 부분
tan−1(0)=0,tan−1(1)=𝜋/4
역탄젠트에서는 위의 두 식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역탄젠트에서는 역사인, 역코사인 처럼 대수적인 계산을 하는 문제가 나오지 않는다. 역탄젠트 𝑥의 그래프의 개형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코딩 > 게임서버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CPU에 대해서 (1) | 2024.07.09 |
---|---|
[게임서버공부] 응용계층, DNS, HTTP (0) | 2024.06.20 |
[서버공부] 전송계층의 이해 (0) | 2024.06.18 |
[CS] Select 모델과 IOCP 모델 (0) | 2024.06.04 |
[CS]서브넷마스크, IP 주소의 종류, 라우터와 라우팅 (1) | 2024.05.30 |